본문 바로가기
금융 탐구

​엔비디아의 적정 PER은 몇 배일까? 성장주 투자자를 위한 밸류에이션 공식 완전 정리 (주가만 보면 손해)​

by 로보베 2025. 4. 11.
반응형

엔비디아 적정 PER

 

엔비디아(NVIDIA)의 적정 PER은 얼마일까요? 주식 투자에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주가수익비율(PER)은 이러한 평가에 자주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PER의 개념부터 계산 방법, 해석, 그리고 엔비디아(NVIDIA)와 같은 성장주에 대한 실제 적용 사례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PER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2. PER 계산법과 해석 방법
  3. 업종별 적정 PER 기준
  4. 성장주에서 높은 PER의 의미
  5. 낮은 PER의 함정: 저평가인가, 위험신호인가?
  6. PER 외에 고려해야 할 지표: PEG, PSR, ROE
  7. PER 활용 시 유의사항
  8. 엔비디아의 PER 분석과 투자 판단

 

 

 

 

 

 

 

1. PER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PER(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은 기업의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투자자가 해당 기업의 이익 대비 주가 수준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쉽게 말해, 현재 주가가 기업의 이익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중요성

  • 투자 판단 지표: PER은 기업의 수익성 대비 주가 수준을 평가하는 데 활용됩니다.
  • 비교 분석 도구: 동일 업종 내 기업 간의 가치 평가를 비교할 때 유용합니다.
  • 시장 심리 반영: 높은 PER은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낮은 PER은 반대로 시장의 우려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2. PER 계산법과 해석 방법

 

계산법

 

PER=주가/주가주당순이익(EPS)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주가가 50달러이고 주당순이익이 5달러라면, PER은 10이 됩니다.

 

해석

  • 높은 PER: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는 주가가 이미 미래의 성장 기대를 반영하여 높게 형성되었음을 시사하기도 합니다.
  • 낮은 PER: 현재 이익 대비 주가가 낮게 형성되어 있어 저평가되었을 수 있지만, 기업의 성장성 부족이나 리스크 요인을 반영할 수도 있습니다.

 

 

 

 

 

3. 업종별 적정 PER 기준 확인

 

 

PER은 업종별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전통 산업은 낮은 PER을, 높은 성장성을 가진 기술주는 높은 PER을 보입니다.

 

예시

  • 전통 산업: PER 10~15배
  • 기술주: PER 20~50배 이상

이는 기술주의 경우,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크게 반영되기 때문입니다.


 

4. 성장주에서 높은 PER의 의미

 

 

 

 

성장주, 특히 기술주에서 높은 PER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 미래 성장 기대: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의 미래 수익 증가를 기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시장 선도 기업: 해당 분야에서 독점적 지위를 가지거나 혁신적인 기술을 보유한 기업일 경우, 높은 프리미엄이 부여됩니다.

그러나 높은 PER은 이미 미래 성장 기대가 주가에 반영되었음을 의미하므로, 실제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주가 하락의 위험이 있습니다.


 

5. 낮은 PER의 함정: 저평가인가, 위험신호인가?

 

 

낮은 PER은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 일시적 이익 증가: 일회성 이익으로 EPS가 일시적으로 상승한 경우 PER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사업 리스크: 기업의 재무적 문제나 산업 전망이 부정적인 경우, 낮은 PER은 투자자들의 우려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낮은 PER만으로 저평가되었다고 판단하기보다는, 기업의 전반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6. PER 외에 고려해야 할 지표: PEG, PSR, ROE

 

 

 

 

PER만으로는 기업의 가치를 완전히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다음과 같은 지표들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 PEG(Price/Earnings to Growth): PER을 이익 성장률로 나눈 값으로, 성장률을 고려한 주가 수준을 평가합니다. PEG가 1보다 낮으면 저평가되었음을 시사합니다.
  • PSR(Price-to-Sales Ratio): 주가를 주당 매출액으로 나눈 값으로, 매출 대비 주가 수준을 평가합니다.
  •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로, 기업이 주주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는지를 나타냅니다.

 

 

 

 

 

 

 

 

 

7. PER 활용 시 이런 걸 유의하자

 

 

  • 업종 평균과 비교: 동일 업종 내 다른 기업들과의 PER을 비교하여 상대적인 가치를 평가해야 합니다.
  • 미래 전망 고려: 과거 실적뿐만 아니라, 기업의 미래 성장 전략과 산업 전망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일회성 요인 배제: 일시적인 이익 변동 요인을 제거하고 지속 가능한 이익을 기반으로 PER을 평가해야 합니다.

 

8. 엔비디아의 PER 분석과 투자 판단

 

 

사진: Unsplash 의 BoliviaInteligente

 

(1) 엔비디아(NVIDIA)의 최근 실적

  • 2025년 1월 26일 종료된 회계연도 기준: 연매출 1,305억 달러로 전년 대비 114% 증가.
  • 주당순이익(EPS): 2.94달러로 전년 대비 147% 상승.

 

(2) PER 계산

2025년 4월 10일 기준 엔비디아의 주가는 107.57달러입니다. 이를 EPS 2.94달러로 나누면 PER은 약 36.59배가 됩니다.

 

현재 실시간 PER도 꼭 확인해 보세요. 

 

 

(3) 지난 10년간 PER 변화

 

출처:  Macrotrends

 

 

연도 PER 연간 변동률
2015 30.2 +58.36%
2016 48.1 +59.01%
2017 43.9 -8.74%
2018 17.3 -60.59%
2019 59.4 +243.61%
2020 84.2 +41.75%
2021 89.2 +5.90%
2022 61.4 -31.16%
2023 64.7 +5.43%
2024 36.6 -43.43%
2025 36.6 0.00%

 

 

 

  1. 기술 혁신과 제품 출시: 엔비디아는 GPU 분야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시장을 선도해 왔습니다. 새로운 제품의 성공적인 출시와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등 신기술 분야로의 진출은 투자자들의 기대를 높여 PER 상승에 기여했습니다.
  2. 시장 수요 변화: 암호화폐 채굴 붐과 같은 특정 산업의 수요 증가는 엔비디아 제품에 대한 수요를 급증시켰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수요는 변동성이 높아 PER의 급등과 하락을 초래하기도 했습니다.
  3. 경쟁 환경: AMD, 인텔 등 경쟁사의 시장 진입과 기술 발전은 엔비디아의 시장 점유율과 수익성에 영향을 미쳐 PER 변동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4. 거시 경제 요인: 글로벌 경제 상황, 무역 분쟁, 공급망 이슈 등 외부 요인도 투자자들의 심리에 영향을 주어 PER 변동을 야기했습니다.

 

(4) 지금 PER이 과거보다 낮아졌다는 건 무슨 뜻인가요?

 

① 주가보다 이익이 더 빠르게 늘었다는 뜻입니다.

  • PER은 “주가 ÷ 주당이익(EPS)”이기 때문에, 이익이 늘어나면 PER은 낮아지게 됩니다.
  • 예를 들어, 2022년에 PER이 80배였다는 건 당시 시장이 엔비디아가 앞으로 이익을 많이 낼 것이라고 ‘기대’하고 높은 가격에 주식을 사고 있었다는 뜻입니다.
  • 2024~2025년에는 실제로 엔비디아의 수익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PER이 36배까지 조정된 것입니다.

② 시장 기대치에 비해 수익이 현실화된 시점이라는 뜻입니다.

  • 과거에는 "AI가 성장할 거야"라는 기대감이 반영되어 PER이 높았습니다.
  • 지금은 AI 수요가 실제 수익으로 나타나면서, 기대보다는 실적 기반 밸류에이션으로 시장이 바라보기 시작한 것입니다.

③ ‘밸류에이션 부담’이 다소 줄어들었다는 의미입니다.

  • PER이 80배일 때보다 36배일 때가 투자 판단상 더 “합리적인 가격”일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여전히 전통 제조업(PER 10~15배)보다는 높은 수준이며, 기술주 평균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입니다.

 

 

 

 

 

 

 

 

 

(5) 예시 비교 

 
 
 
 
 
 
 
 

기업 PER (2025) 주당순이익(EPS)  증가율해석
엔비디아 36.6배 약 +147% 수익 급증 → PER 하락 (건강한 흐름)
애플 40.3배 +5~10% 성장 둔화, PER 유지
알파벳 21.5배 +15% 내외 가치주 접근 가능성

 

  • 지금의 PER 하락은 주가 하락이 아니라, 수익 증가 때문입니다.
  • 과거보다 더 싼 밸류에이션처럼 보일 수 있지만, 절대적으로는 여전히 높은 PER이므로 성장 지속 가능성이 핵심입니다.
  • 투자자 입장에선 “이 기업이 지금 수준의 PER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까?”를 따져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장주 투자 전 꼭 여러가지 지표를 확인하여 좋은 투자 결정을 내리시길 응원합니다. 

 

 

엔비디아 주가 전망: 하락 이유부터 반등 가능성까지 총정리

📌 목차엔비디아의 기업 개요중장기 주가 흐름 알아보기최근 주가 하락 원인 확인미래 성장 동력과 반등 가능성월가의 분석과 목표 주가투자 전략 및 리스크 관리 방법지금 사야 할까, 기다려

robobe2025.com

 

반응형

loading